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4

디버깅, 오류를 찾아내는 개발자의 필수 역량 프로그래밍을 배우거나 실제로 개발을 하다 보면 오류는 항상 따라다닙니다. 아무리 주의 깊게 코드를 작성해도 예상하지 못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개발자에게 필요한 것은 오류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입니다. 바로 이때 필요한 것이 디버깅(Debugging)입니다. 프로그래밍 오류의 유형오류는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구문 오류(Syntax Error) —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잘못 사용하여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괄호가 빠지거나, 명령어를 잘못 입력했을 때 발생합니다.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발견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입력 오류(Input Error) — 사용자가 데이터를 잘못 입력해 생기는 오류입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입력값에 대한 검증과 예.. 2025. 7. 17.
코딩이란 무엇일까? – 개념부터 자격증까지 ✅ 코딩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을 만드는 첫걸음 요즘 뉴스나 학교, 학원 어디에서나 ‘코딩 교육’이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 겁니다. 많은 부모님과 학생들이 ‘코딩은 곧 프로그래밍인가?’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코딩과 프로그래밍은 같으면서도 조금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둘의 차이와 코딩이 가진 의미를 쉽게 풀어보고자 합니다.✅ 코딩이란? 간단한 정의부터!먼저 사전적인 정의를 살펴볼까요?코딩(Coding)이란 ‘요약된 알고리즘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언어로 바꾸어 적는 작업’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문제를 풀기 위해 생각한 절차(알고리즘)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해 주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죠.예를 들어 ‘가장 큰 숫자를 찾아라’라는 문제를 .. 2025. 7. 9.
언플러그드, 컴퓨터 없이 배우는 컴퓨터 과학 ✅ 언플러그드, 컴퓨터 없이 배우는 컴퓨터 과학오늘날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컴퓨터가 존재합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스마트워치까지, 우리는 눈을 뜨는 순간부터 잠들기 전까지 디지털 기기에 둘러싸여 살아갑니다. 그런데 이런 디지털 세상에서 ‘컴퓨터 과학’을 배운다고 하면 대부분은 당연히 컴퓨터 앞에 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조금 다른 접근이 있습니다. 바로 ‘언플러그드(Unplugged)’ 활동입니다.✅ 언플러그드란 무엇일까?언플러그드라는 용어는 원래 뉴질랜드의 팀 벨(Tim Bell) 교수가 제안한 개념입니다. 팀 벨 교수는 어린 학생들이 복잡한 컴퓨터나 프로그래밍 언어 없이도 컴퓨터 과학의 핵심 원리를 깨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고안했습니다.즉, 언플러그드란 ‘컴퓨터 없이(comp.. 2025. 7. 9.
운영체제(OS)란 무엇일까?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숨은 일꾼!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는 전원을 켜자마자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화면에 아이콘이 뜨고, 마우스로 클릭하고, 앱을 실행하고, 파일을 저장하죠.그런데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보이지 않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바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입니다.운영체제란?운영체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하드웨어(기계 장치)를 직접 다루지 않아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컴퓨터를 쓸 수 있도록 도와주죠.쉽게 말하면,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사용자는 운영체제를 통해 파일을 저장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마우스를 움직이고, 인터넷을 연결합니다.운영체제.. 2025. 7. 8.
애플리케이션(App)이란 무엇일까? 쉽게 정리해봅시다! 스마트폰을 쓰는 우리는 매일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앱)을 사용합니다.뉴스를 읽고, 영화를 보고, 쇼핑을 하고, 친구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까지 모두 앱 덕분에 가능합니다.그런데 ‘애플리케이션’이라는 말은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애플리케이션이란?‘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어떤 기기에서 돌아가는 응용 프로그램을 뜻합니다.즉,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가리키는 말이지요.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문서를 작성할 때 쓰는 워드 프로그램도 애플리케이션이고,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게임, SNS, 메신저, 배달 앱 등도 모두 애플리케이션입니다.일상에서 자주 쓰는 줄여서 부르는 말은 ‘앱(App)’입니다.‘애플리케이션’이 길기 때문에 사람들이 짧게 ‘앱’이라고 부르는 것이죠.애플리케이션.. 2025. 7. 8.
오브젝트(Object)와 스프라이트(Sprite), 뭐가 다를까? 코딩 교육이나 메이커 교육에 관심이 있다면 ‘오브젝트(Object)’와 ‘스프라이트(Sprite)’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두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 조금씩 다른 맥락에서 사용됩니다.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의 오브젝트먼저 ‘오브젝트(Object)’는 원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여기서 오브젝트란 데이터(속성)와 메소드(동작)를 하나로 묶은 단위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라는 오브젝트가 있다면 ‘색상’, ‘속도’ 같은 데이터와 ‘달리다’, ‘멈추다’ 같은 메소드를 함께 가집니다.즉, 오브젝트는 프로그램 안에서 현실 세계의 사물이나 개념을 코드로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이 덕분에 코드를 더 직관적.. 2025. 7. 8.